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다른 사람 앞에서는 말 못 하는 아이

 집에서는 어느 정도 말을 하지만 다른 사람 앞에서는 말을 못 하는 아이를 종종 보게 됩니다. 이럴 때 많은 부모들이 아이에게 집에서는 말을 잘하면서 왜 밖에서는 못하느냐고 답답해하거나 말을 잘해보라고 아이를 다그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는 아이의 마음을 더 다치게 하고 자신감을 잃게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그렇게 행동하는 이유와 원인을 알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사람 앞에서 말을 못 하는 아이의 행동 원인 

첫째, 정서적으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위축된 경우 

 정서적으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위축되어 있는 아동은 다른 아이와 어울리는 것을 두려워하고 대화를 주고받는 것을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둘째,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경우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아이의 경우 낯선 환경일수록 부끄러움을 많이 느껴 말을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남의 이목을 의식하고 의사소통을 잘하지 못하며 자기 스스로에 대해 표현하지 못합니다. 

셋째, 부모가 아이의 사소한 관심이나 자발적인 행동, 아이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일 등을 무감각하게 대응하거나 무시하였을 경우 

 아이의 감정이나 기분을 무시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기분도 모르고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 등을 표현하기 두려워합니다. 

넷째, 말을 잘해야겠다는 생각에 말실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 

다섯째, 부모의 비판적인 태도를 자주 경험한 경우 

여섯째, 부모가 반복적으로 벌을 주고 사랑을 주지 않겠다는 위협을 하는 경우 

 부모의 위협적인 양육 태도 밑에서 성장한 아동은 두려움과 겁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위협을 피하는 수단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 하고 방어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 앞에서 말을 못 하는 아이의 문제 해결 방법 

첫째, 어린 나이부터 가능한 또래와 즐겁고 유쾌한 경험을 제공하기 

 부모는 또래와 대화하고 잘 노는 아이에게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를 칭찬해 줍니다. 

둘째, 자신감과 자연스러움 격려하기 

 아이들의 자신감은 주어진 과제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을 때 높아집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고 시도할 수 있도록 격려해 줍니다. 그리고 사람은 완벽하거나 남과 똑같이 행동할 필요는 없다는 것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따뜻하고 수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기 

 부모의 사랑과 관심은 많을수록 좋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싫다고 말할 수 있는 허용적인 분위기를 제공해 줍니다. 아이들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아이 자신이 비록 부모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을지라도 수용되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편애 없는 부모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들을 보면 간혹 "동생 때문에, 언니 때문에, 형 때문에, 오빠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라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 또 따른 경우는 다른 형제에 비해서 "나는 못났다"라고 생각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부족하게 바라보며 고통스러워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편애하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가 편애하지 않았더라도 편애를 받았다고 느꼈다면 심리적 피해자가 되는 것입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일부러 하잖게 대하려고 하고가 상처 많은 아이로 키우고 싶을 리 만무합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상처를 받았다고 고백할 때 부모는 또 다른 충격과 상처를 받게 되는 이유입니다. 어떻게 해야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고, 소중하게 대해준다는 느낌을 받게 하며. 스스로 존재를 축하받았다는 느낌을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아이의 마음을 유추해 읽어주는 것입니다.   떼를 부리는 경우 아이에게 '왜' 그러는지 물어주는 좋은 엄마들이 많은데 이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하면 좋습니다. 왜 인지 물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표현하지 못할 경우 왜 그런지 끊임없이 유추해서 “동욱이가 이것을 원하는구나"라고 물어봐 주어야 합니다.  어쩌면 두 자녀를 비교하며 발달을 체크하는 것이 아이를 더 잘 양육하기 위한 노력일 수도 있지만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이제 막 자기 개념을 형성하고 자기 자아를 만들어가는 아이들에게 비교는 치명적인 상처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편애하지 않고 한 명, 한 명 소중히 대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럼 오늘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자녀의 존재 자체를 축하해 주고 특별히 대해주기로요. 자기 전, 자녀들에게 이야기를 해주세요.  "나는 이 세상에서 너희들을 내 자녀로 만나게 되어 정말 큰 축복이라고 생각해. 엄마는 너희와 함께 잘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해. 내 아이들로 태어나주어서 정말 고마워"라고요.   그때 자녀가 다른 형제자매와 비교하며 "누가 더?"라

칭찬을 할 때는 구체적인 칭찬이 아이의 기억 속에 남길 수 있다

적응 기간 아이들의 특징  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이 되면 부모님들은 우리 아이가 새 친구들은 잘 사귈지, 새로운 담임선생님과 잘 적응할지 걱정이 많아진다. 아이마다 다르긴 하지만 낯선 사람이나 낯선 곳에 가면 호기심이 생겨 말을 걸어 보거나 살펴보느라 열심히 뛰어다니는 아이들이 있지만, 새로운 곳에 가면 긴장하며 어색해하는 아이들도 있다. 이런 아이들은 엄마 다리 한쪽이나 팔에 매달려서 힐끔힐끔 주변을 둘러보거나 너무 긴장한 나무지 울어버리기도 한다. 목소리를 내어서 입을 열고 싶지만 좀처럼 입은 떨어지지 않는다. 뭔가 말을 해 보려고 하면 어른들이 쳐다보는 시선들이 참으로 불편하고 부담스러워서 견디기가 어렵다. 그래서 엄마 팔이라도 잡고 있으면 좀 마음이라도 편안할 것 같기도 하다. 부모가 해야 할 일  엄마가 자꾸 밀어내면 아이들의 불안은 더 커지기에 엄마의 기다림이 필요한 순간이다. 아이의 안정감을 더 빨라지도록 도와서 아이의 적응을 도우려면 엄마의 다독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여기 처음 와보지" ,"오랜만에 보아서 어색하지."라면서 "괜찮아 원래 처음엔 다 어색해"라면서 다독임이 필요하다. 엄마의 기다림은 아이의 낯설어하는 시간과 어색한 마음, 긴장된 마음들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아이만을 다독이다 보면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는 아이의 마음은 제자리에 머물고 싶어서 도전하지 않고 피하기만 하게 된다. 그래서 작은 것에 도전하고 시도하는 경험을 통해서 성공 경험을 챙겨주면 아이의 소심한 성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엄마의 집안일을 도왔을 때, 스스로 새로운 놀이를 찾았을 때, 새로운 장난감을 조작하여서 성공하였을 때 등 스스로 도전한 것에 칭찬하면 좋다. 단, 이때 아이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는데 도전을 위해서 아이를 재촉하게 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 버릴 수 있다. 아이가 할 수 있을 만큼씩만 도전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어두운 방에 들어갈 때 처음

훈육에서 놓치기 쉬운 것들 -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 알아두면 좋은 원칙

Q. 4세(만 3세) 아이와 함께하는 저의 하루는 전쟁으로 시작하여 전쟁으로 끝납니다. 등원시간에 맞춰 아이를 깨우고 준비하는 것, 씻는 것, 먹는 것, 잠자는 것 어느 하나 쉽게 되는 것이 없습니다. 최소 3번 이상은 이야기를 해야 하거나 목소리를 높여야 그제야 아이가 자기 할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매일 이런 전쟁이 반복되다 보니 저는 저대로 지쳐 아이의 행동에 화부터 나기 시작하고, 생활습관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 기관이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은 없을까 걱정됩니다. 아이의 올바른 생활습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만큼 어린 시절에 바람직한 습관을 잘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일 텐데요, 하지만 만 3세 아이의 버릇 길들이기는 생각보다 녹록지 않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아이가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작동하는 때이므로 부모의 지시에 반항 아닌 반항을 하기도 하고 자기 멋대로 저지레를 하다가 해야 하는 일을 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의 체력적, 심리적 에너지가 많이 소진될 수 있으며, 양육자는 혹시나 잘못된 생활습관이 아이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불안을 느끼기도 합니다.   부모들과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아이가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고려하면 좋을 몇 가지 원칙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합니다. 되도록 정해진 시간이나 순서에 따라 일과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어나기, 잠자기, 세수/양치하기, 목욕하기 등 하루에 반복적으로 하는 일들은 시간을 정하여 그 시간에 할 수 있도록 연습합니다. 아직 시계를 보고 시간을 말할 수 있는 나이는 아니지만, ‘(손가락으로 시계의 숫자를 가리키면서) 밥을 먹고 긴 바늘이 여기에 가면 목욕을 할 거야.’라는 식으로 시곗바늘 위치를 알려주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