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훈육의 의미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언어 등을 바로 잡기 위해 겁을 주거나 상처를 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세상을 행복하고 쉽게 살아가도록 가르치는 것!


훈육 시 주의 사항

발달에 적절한 훈육을 한다. 발달 수준을 잘 이해하는 수준에서 훈육을 해야 합니다. 

간결하고 분명한 언어로 표현한다.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말이나 행동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부모의 감정을 정화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부모의 격한 감정은 폭언과 체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체벌은 비효과적이다. 힘없는 사람들을 마음대로 때릴 수 있다는 생각을 길러줄 수 있습니다. 


벌의 의미 < ‘자연적 결과’ , ‘논리적 결과’를 교육한다> 

벌은 아동의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것을 제한하므로 아동 스스로가 올바른 행동을 결정하도록 합니다. 

자연적 결과란 자녀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부모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결과를 경험 즉,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보상과 벌을 받게 됩니다. 

논리적 결과란 자녀의 그릇된 행동과 연관 지어 논리적으로 받게 되는 결과 책임감 있는 행동을 가르치기 위한 의도를 가집니다.


훈육의 방법

1. 잘못을 했을 때 즉시 처벌하기

잘못된 행동을 하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처벌은 현재 하고 있는 일과 처벌이 가장 강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즉시 처벌합니다 

2. 처벌할 때에는 단호하게 행동하기 

부드럽게 타이르는 것 강하고 단호한 목소리로 처벌해야 하지만 도가 지나친 처벌은 역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3. 처벌 이외의 대안을 생각해 보기 


타임아웃제도

격리된 장소에서 자신의 행동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처벌방법이다. 타임아웃이 끝난 후엔 잘못을 다시 설명해 주고 다독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1. 일관성 있게 처벌하기 

엄마의 기분에 따라 처벌이 이루어지면, 아이는 잘못된 행동을 하기 전에 부모의 눈치를 보게 됩니다 

2. 처벌 상황 외에는 온화하고 수용적인 부모 되기 

아이는 온화하고 상냥하며 자신이 바르게 행동하면 자신을 받아주는 사람의 체벌에 더 잘 반응하므로, 평소 수용적인 부모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3. 이유를 설명해 주기 

아이를 처벌할 때, 무엇이 잘못된 행동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대안행동을 제시해 주기 

무엇이 잘못된 행동인지 뿐만 아니라, 이후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어 잘못된 행동이 반복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편애 없는 부모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들을 보면 간혹 "동생 때문에, 언니 때문에, 형 때문에, 오빠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라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 또 따른 경우는 다른 형제에 비해서 "나는 못났다"라고 생각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부족하게 바라보며 고통스러워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편애하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가 편애하지 않았더라도 편애를 받았다고 느꼈다면 심리적 피해자가 되는 것입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일부러 하잖게 대하려고 하고가 상처 많은 아이로 키우고 싶을 리 만무합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상처를 받았다고 고백할 때 부모는 또 다른 충격과 상처를 받게 되는 이유입니다. 어떻게 해야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고, 소중하게 대해준다는 느낌을 받게 하며. 스스로 존재를 축하받았다는 느낌을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아이의 마음을 유추해 읽어주는 것입니다.   떼를 부리는 경우 아이에게 '왜' 그러는지 물어주는 좋은 엄마들이 많은데 이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하면 좋습니다. 왜 인지 물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표현하지 못할 경우 왜 그런지 끊임없이 유추해서 “동욱이가 이것을 원하는구나"라고 물어봐 주어야 합니다.  어쩌면 두 자녀를 비교하며 발달을 체크하는 것이 아이를 더 잘 양육하기 위한 노력일 수도 있지만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이제 막 자기 개념을 형성하고 자기 자아를 만들어가는 아이들에게 비교는 치명적인 상처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편애하지 않고 한 명, 한 명 소중히 대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럼 오늘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자녀의 존재 자체를 축하해 주고 특별히 대해주기로요. 자기 전, 자녀들에게 이야기를 해주세요.  "나는 이 세상에서 너희들을 내 자녀로 만나게 되어 정말 큰 축복이라고 생각해. 엄마는 너희와 함께 잘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해. 내 아이들로 태어나주어서 정말 고마워"라고요.   그때 자녀가 다른 형제자매와 비교하며 "누...

훈육에서 놓치기 쉬운 것들 -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 알아두면 좋은 원칙

Q. 4세(만 3세) 아이와 함께하는 저의 하루는 전쟁으로 시작하여 전쟁으로 끝납니다. 등원시간에 맞춰 아이를 깨우고 준비하는 것, 씻는 것, 먹는 것, 잠자는 것 어느 하나 쉽게 되는 것이 없습니다. 최소 3번 이상은 이야기를 해야 하거나 목소리를 높여야 그제야 아이가 자기 할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매일 이런 전쟁이 반복되다 보니 저는 저대로 지쳐 아이의 행동에 화부터 나기 시작하고, 생활습관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 기관이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은 없을까 걱정됩니다. 아이의 올바른 생활습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만큼 어린 시절에 바람직한 습관을 잘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일 텐데요, 하지만 만 3세 아이의 버릇 길들이기는 생각보다 녹록지 않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아이가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작동하는 때이므로 부모의 지시에 반항 아닌 반항을 하기도 하고 자기 멋대로 저지레를 하다가 해야 하는 일을 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의 체력적, 심리적 에너지가 많이 소진될 수 있으며, 양육자는 혹시나 잘못된 생활습관이 아이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불안을 느끼기도 합니다.   부모들과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아이가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고려하면 좋을 몇 가지 원칙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합니다. 되도록 정해진 시간이나 순서에 따라 일과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어나기, 잠자기, 세수/양치하기, 목욕하기 등 하루에 반복적으로 하는 일들은 시간을 정하여 그 시간에 할 수 있도록 연습합니다. 아직 시계를 보고 시간을 말할 수 있는 나이는 아니지만, ‘(손가락으로 시계의 숫자를 가리키면서) 밥을 먹고 긴 바늘이 여기에 가면 목욕을 ...

장난감 없이, 집에서 하는 성장발달 놀이 추천

Q. 저희 아이는 외동이에요.  형제가 없다 보니 더 좋은 것들을 해주고 싶은 마음에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이 있을 땐 가능하다면 사주는 편이에요. 시댁이나 친정에서도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을 종종 사주시고요. 장난감 방이 따로 있을 정도인데 주로 아이가 장난감 방에서 혼자 노는 시간이 많아요. 이 연령대의 아이들은 특히 정서 발달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같이 놀아주는 방법도 잘 몰라서 어떻게 잘 놀아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스킨십으로 행복하고 따뜻한 느낌 나누기   정서 발달에는 특히나 스킨십이 중요합니다. 피부를 맞대는 것, 눈을 맞추는 것 모두 아이에게 따뜻하고 행복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특히 맞벌이로 바빠 아이와 외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집에서 할 만한 놀이 방법을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가장 쉬운 것은 ‘까꿍 놀이’, ‘숨바꼭질 놀이’, ‘보물찾기 놀이’입니다. 가끔은 아이가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숨어 있어도 모르는 척 뜸을 들이며 ‘아이 정말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거지? 아무리 봐도 모르겠네!’하며 열심히 찾는 시늉을 하면 아이는 키득키득 웃으며 행복해합니다. 때로는 찾기도 전에 ‘여기 있지!’하며 아이가 먼저 튀어나오기도 하는데 그때도 조금은 과하다 싶게 깜짝 놀랐다는 표정과 목소리로 반응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본인이 하는 행동이 부모에게 영향을 크게 미칠수록 아이는 흥미로워하며 본인이 해낸 것에 뿌듯해합니다.   아이와 함께 게임을 하고 난 후에 아이의 상태를 세심히 살펴주세요. 땀이 날 때에는 ‘아이고 열심히 해서 땀이 났네~ 진짜 재미있었나 보다! 네가 재밌어하니까 엄마도 기분이 좋네~’하며 땀을 닦아주기도 하고 게임을 하고 나니 어땠는지 물어보기도 하고 오늘 재밌었다며 하이파이브를 하거나 서로를 안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의 특성에 도움이 되는 놀이 해보기   아이들은 저마다 움직임이 많고 활동적일 수도, 조용하고 움직임이 느릴 수도, 고집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