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말이 늦은 아이, 언어발달에 문제가 있는 걸까?

 유아기를 넘어 초등학교에 갈 때까지 발음이나 말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있다. 이럴 때 조바심이 난 부모가 아이를 혼내거나 꾸짖는 다면 아이는 자존감에 상처를 받아 더 움츠러들 것이다. 아이의 늦은 언어발달,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엄마의 걱정이 아이 성장을 늦출 수 있다. 

 아이의 언어를 교정시키고 발달을 도우려다 아이의 전반적인 발달에 지장을 주거나 혹은 아이의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자존감’도 훼손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또래보다 내 아이의 언어발달이 늦다면 부모로서 당연히 걱정이 될 것이다. 말이 늦은 아이들의 현상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자모음을 더듬는 경우가 있거나 불필요한 소리를 내거나, 특별할 신체적 이상이 없다면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지만 부모의 도움이 중요하다.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 

 아이의 발음을 교정하려고 애쓰기보단 부모의 정확한 발음을 ‘들려’ 주자. 아이의 발음이 정확하지 않다고 해서 듣는 귀가 발달하지 않는 건 아니다. 아이가 잘못된 발음으로 이야기를 할 때 부모는 그 아이가 하려던 말을 정확한 말투와 발음으로 다시 한번 들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어휘력 부족 및 이야기의 내용이 부실한 경우 

 아이가 민망하지 않게 해 주고, 지나치게 긴 문장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아이가 말하고자 하는 의사를 길지 않게 ‘명료화’ 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 목소리가 작거나 발표할 때 유난히 말을 못 하는 경우 

 내향적인 아이에게 피해야 할 말이 있다. ‘넌 왜 이렇게 수줍어해’, ‘넌 왜 그렇게 내성적이야?’라는 말이다. 약점을 들추는 비난 같아서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 목소리가 작은 아이일수록 내성적인 성격을 가진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지적하기 시작하면 아이의 자신감이 위축될 뿐 아니라 발표에 대한 공포도 느끼게 된다. 할 말이 있어도, 발음이 정확해도, 어휘력이 풍부해도 말할 마음이 없으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말이 맞은 아이에게 도움을 주는 몇 가지 TIP

1) 부모의 발음을 정확히 들려주자
2) 아이의 부정확한 발음을 따라 하지 마라
3) 말하고 싶게 하라
4) 말은 ‘마음’의 표현이다. 마음이 편해야 말하고 싶고, 말할 분위기가 중요하다.
5) 아이의 말투와 발음에 지적은 금물이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의산만 우리 아이를 위해 부모가 3가지 먼저 시작해 보기

우리 아이가 산만하다고 생각해서 인터넷을 검색했을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바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일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산만하다는 한 가지 이유로는 ADHD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아이의 산만함 정도, 주의를 잘 기울이고 주의를 얼마나 지속하는지 잘 조절하고 있는지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기에 인터넷 검색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으로 걱정을 덜었으면 합니다.   산만한 아이들은 아이가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남다른 활동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높은 호기심을 보이는 아이가 있습니다. 아이들의 타고난 성향이 외향적이고 활발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엄마가 쫓아다니기가 힘들었고 물건 치우기가 바빴다면 아이는 산만한 성향일 수 있습니다.  산만한 아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고 싶다는 마음이 너무 강하고 좋아하는 것에는 너무 몰입하여서 엄마가 그만해야 한다는 말도 들리지 않고, 학원을 가야 한다.’라는 중요한 일도 잊어버립니다.   엄마나 친구들이 이야기하고 있을 때면 아이의 머릿속도 바빠져서 다른 여러 가지 생각이 납니다. 엄마나 친구가 이야기하고 있지만 생각난 것을 빨리 말하고 싶어서 말해 버립니다. 그래서 엄마 말을 끝까지 듣지 않거나 엉뚱한 이야기를 하여서 혼이 나기도 합니다.   산만한 아이들은 창의적이고, 재미있으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는 끈기 있게 집중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은 인정하고 칭찬하며 아이의 서투른 부분은 엄마의 도움을 받아서 스스로 조절하고 해결하는 방법들을 연습해야 합니다.   엄마는 아이가 산만하고 활동적이라는 면을 깊이 인정합니다.   엄마들은 아이에 대한 기대들이 있기에 아이의 서투른 면들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가 산만하다는 성향을 인정하게 되면 아이의 실수나 규칙을 어기는 행동들에 대해서 조금 더 너그러워질 수 있을 ...

규칙 지키기 어려운 아이를 위한 양육 TIP!

꼭 이겨야만 하는 우리 아이, 이렇게 도와주세요!  규칙을 이해할만한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유난히 경쟁 욕구가 심한 아동의 특징은 무엇일까?  자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고, 빈곤한 자기 상을 갖고 있는 아동, 형제, 자매와의 사이에서 부모의 관심에서 밀려났다고 느끼거나, 부모들과 형제, 자매에게 자신의 성취 욕구를 과시하고 항복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또한, 방임과 학대에 노출된 경우가 많고, 자신이 존중받고 가치 있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하기 위해서 이기는 것에 집중한다.   이러한 아이들은 어떻게 양육해야 할까? 혹시라도 계속해서 봐주게 되면 집에서는 괜찮겠지만, 밖에 나가서도 그렇다면 어떡해야 할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걱정만 늘어가는 것이 부모의 마음일 것이다.  이겨야만 하는 우리 아이를 위한 양육 TIP  1. 놀이를 시작하기 전 구체적으로 구조화를 해야 한다.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 승패는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대해 뜻밖에 많이 놓치는 부분이다. 놀이를 시작하기 전 아이와 어떤 방식으로 할지 먼저 이야기를 나누고 시작해 보자.  2. 어른과 아이는 똑같은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   하나. 아이에게 어드밴티지를 주고 어른은 핸디캡을 가지고 놀이&게임을 한다. 예를 들면, 아이의 칩이 모두 없어지면 칩 하나를 살릴 수 있는 찬스카드를 미리 주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가 공정한 범위 안에서 규칙을 지키는 연습을 해나가게 하는 것이다.   둘. 아이가 어드밴티지를 가질 때 어른은 아이보다 조작도 잘하고 숙련되어 더 잘할 수밖에 없다는 것에 대해서 미리 말해 주고 이러한 룰은 집에서만 우리끼리만 할 수 있다는 것을 제한을 둔다. 3. 중간에 규칙을 바꾸지 않습니다.   중간에 규칙을 바꾸고 싶다면 규칙을 바꿀 수 있지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것에 대해 말해준다. 아이들은 놀이시간에 이기고 지는, 그리고...

편애 없는 부모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들을 보면 간혹 "동생 때문에, 언니 때문에, 형 때문에, 오빠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라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 또 따른 경우는 다른 형제에 비해서 "나는 못났다"라고 생각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부족하게 바라보며 고통스러워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편애하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가 편애하지 않았더라도 편애를 받았다고 느꼈다면 심리적 피해자가 되는 것입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일부러 하잖게 대하려고 하고가 상처 많은 아이로 키우고 싶을 리 만무합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상처를 받았다고 고백할 때 부모는 또 다른 충격과 상처를 받게 되는 이유입니다. 어떻게 해야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고, 소중하게 대해준다는 느낌을 받게 하며. 스스로 존재를 축하받았다는 느낌을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아이의 마음을 유추해 읽어주는 것입니다.   떼를 부리는 경우 아이에게 '왜' 그러는지 물어주는 좋은 엄마들이 많은데 이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하면 좋습니다. 왜 인지 물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표현하지 못할 경우 왜 그런지 끊임없이 유추해서 “동욱이가 이것을 원하는구나"라고 물어봐 주어야 합니다.  어쩌면 두 자녀를 비교하며 발달을 체크하는 것이 아이를 더 잘 양육하기 위한 노력일 수도 있지만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이제 막 자기 개념을 형성하고 자기 자아를 만들어가는 아이들에게 비교는 치명적인 상처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편애하지 않고 한 명, 한 명 소중히 대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럼 오늘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자녀의 존재 자체를 축하해 주고 특별히 대해주기로요. 자기 전, 자녀들에게 이야기를 해주세요.  "나는 이 세상에서 너희들을 내 자녀로 만나게 되어 정말 큰 축복이라고 생각해. 엄마는 너희와 함께 잘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해. 내 아이들로 태어나주어서 정말 고마워"라고요.   그때 자녀가 다른 형제자매와 비교하며 "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