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훈육의 경계,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아이는 돌을 지나고 나면 대체로 걷기 시작하고 ‘엄마’, ‘아빠’ 등 단어를 말하며 사람들의 말을 알아듣는 듯합니다. 이에 훈육이 필요한 여러 가지 일들이 시작되며 훈육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이 시작됩니다. 이에 이 시기 훈육을 할 수 있는지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이는 이 시기에 신체적인 발달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걷기 시작하면서 더 많은 것을 보고 만지며 탐색하기 시작합니다. 이에 하지 말아야 할 일들이 많아지고 이를 제한하는 과정에서 부모는 아이에게 훈육을 하게 됩니다. 이 시기 아이는 간단한 단어를 말하고 부모의 말에 적절한 반응을 보여 부모는 아이가 부모의 말을 알아듣는다고 생각하게 되며 이에 훈육을 시작합니다. 

 그렇다면, 훈육을 했을 때 부모가 기대하는 아이의 행동변화가 일어날까요? 이에 대한 답은 아마도 훈육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훈육의 방법에 있을 것입니다. 이 시기에도 훈육은 가능하지만 시기에 맞는 훈육의 방법이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훈육이란, 규칙에 따라 행동하도록 훈련시키는 것 즉, 사회적 규제와 같이 사회적으로 명백하게 요청되는 행위나 습관을 형성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시기의 아이에게도 훈육은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목적이 이런 사회적 규제와 규칙을 알려주는 알림에 있어야 하며 그 방법 또한 지속적이고 일관성을 가지며 인내심에 바탕을 두고 있어야 합니다.


훈육의 방법 

1. 훈육의 목적을 알림에 둔다. 

 이 시기 아이는 아직은 모든 것에 미숙합니다. 이에 이 시기의 훈육은 아이에게 아직은 잘 모르는 많은 것들에 대해 알려준다는 마음으로 하나하나 친절하게 설명하듯이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뜨거운 것을 만지려고 한다면 뜨거운 물건을 만지며 뜨거운 시늉을 해서 보이고 그것을 만졌을 때 어떻게 되는지 설명합니다. 


2. 훈육은 지속적이며 일관성 있게 한다. 

 훈육은 어느 시기에나 마찬가지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했을 때 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시기의 아이는 아직은 아는 것이 없고 모든 처음 해보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에 더욱더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3. 훈육은 인내심과 기다림을 바탕으로 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아이에게 친절하게 설명을 하던 부모도 세 번 이상 설명을 하고 난 후에도 아이의 행동이 변하지 않으면 화가 나게 되거나 초심을 잃고 좀 더 강한 훈육으로 그 방법을 바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한 훈육은 어린아이에게 짧은 시간 내에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듯 보일 수 있으나 아이가 성장하면서 정서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에 훈육은 모든 시기에서 그러하듯이 인내심과 기다림을 바탕으로 해야 합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2개월에서 17개월의 아이에게 훈육은 모든 새로운 것들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설명서와 같은 것이어야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하고 친절하게 알기 쉽게 설명하며 그 방법을 잊어버리거나 기억이 나지 않을 때 다시 보아도 되는 변함없는 말로 설명해 주는 그런 설명서 같은 훈육이 필요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편애 없는 부모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들을 보면 간혹 "동생 때문에, 언니 때문에, 형 때문에, 오빠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라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 또 따른 경우는 다른 형제에 비해서 "나는 못났다"라고 생각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부족하게 바라보며 고통스러워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편애하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가 편애하지 않았더라도 편애를 받았다고 느꼈다면 심리적 피해자가 되는 것입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일부러 하잖게 대하려고 하고가 상처 많은 아이로 키우고 싶을 리 만무합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상처를 받았다고 고백할 때 부모는 또 다른 충격과 상처를 받게 되는 이유입니다. 어떻게 해야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고, 소중하게 대해준다는 느낌을 받게 하며. 스스로 존재를 축하받았다는 느낌을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아이의 마음을 유추해 읽어주는 것입니다.   떼를 부리는 경우 아이에게 '왜' 그러는지 물어주는 좋은 엄마들이 많은데 이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하면 좋습니다. 왜 인지 물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표현하지 못할 경우 왜 그런지 끊임없이 유추해서 “동욱이가 이것을 원하는구나"라고 물어봐 주어야 합니다.  어쩌면 두 자녀를 비교하며 발달을 체크하는 것이 아이를 더 잘 양육하기 위한 노력일 수도 있지만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이제 막 자기 개념을 형성하고 자기 자아를 만들어가는 아이들에게 비교는 치명적인 상처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편애하지 않고 한 명, 한 명 소중히 대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럼 오늘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자녀의 존재 자체를 축하해 주고 특별히 대해주기로요. 자기 전, 자녀들에게 이야기를 해주세요.  "나는 이 세상에서 너희들을 내 자녀로 만나게 되어 정말 큰 축복이라고 생각해. 엄마는 너희와 함께 잘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해. 내 아이들로 태어나주어서 정말 고마워"라고요.   그때 자녀가 다른 형제자매와 비교하며 "누...

훈육에서 놓치기 쉬운 것들 -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 알아두면 좋은 원칙

Q. 4세(만 3세) 아이와 함께하는 저의 하루는 전쟁으로 시작하여 전쟁으로 끝납니다. 등원시간에 맞춰 아이를 깨우고 준비하는 것, 씻는 것, 먹는 것, 잠자는 것 어느 하나 쉽게 되는 것이 없습니다. 최소 3번 이상은 이야기를 해야 하거나 목소리를 높여야 그제야 아이가 자기 할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매일 이런 전쟁이 반복되다 보니 저는 저대로 지쳐 아이의 행동에 화부터 나기 시작하고, 생활습관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 기관이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은 없을까 걱정됩니다. 아이의 올바른 생활습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만큼 어린 시절에 바람직한 습관을 잘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일 텐데요, 하지만 만 3세 아이의 버릇 길들이기는 생각보다 녹록지 않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아이가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작동하는 때이므로 부모의 지시에 반항 아닌 반항을 하기도 하고 자기 멋대로 저지레를 하다가 해야 하는 일을 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의 체력적, 심리적 에너지가 많이 소진될 수 있으며, 양육자는 혹시나 잘못된 생활습관이 아이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불안을 느끼기도 합니다.   부모들과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아이가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고려하면 좋을 몇 가지 원칙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합니다. 되도록 정해진 시간이나 순서에 따라 일과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어나기, 잠자기, 세수/양치하기, 목욕하기 등 하루에 반복적으로 하는 일들은 시간을 정하여 그 시간에 할 수 있도록 연습합니다. 아직 시계를 보고 시간을 말할 수 있는 나이는 아니지만, ‘(손가락으로 시계의 숫자를 가리키면서) 밥을 먹고 긴 바늘이 여기에 가면 목욕을 ...

장난감 없이, 집에서 하는 성장발달 놀이 추천

Q. 저희 아이는 외동이에요.  형제가 없다 보니 더 좋은 것들을 해주고 싶은 마음에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이 있을 땐 가능하다면 사주는 편이에요. 시댁이나 친정에서도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을 종종 사주시고요. 장난감 방이 따로 있을 정도인데 주로 아이가 장난감 방에서 혼자 노는 시간이 많아요. 이 연령대의 아이들은 특히 정서 발달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같이 놀아주는 방법도 잘 몰라서 어떻게 잘 놀아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스킨십으로 행복하고 따뜻한 느낌 나누기   정서 발달에는 특히나 스킨십이 중요합니다. 피부를 맞대는 것, 눈을 맞추는 것 모두 아이에게 따뜻하고 행복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특히 맞벌이로 바빠 아이와 외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집에서 할 만한 놀이 방법을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가장 쉬운 것은 ‘까꿍 놀이’, ‘숨바꼭질 놀이’, ‘보물찾기 놀이’입니다. 가끔은 아이가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숨어 있어도 모르는 척 뜸을 들이며 ‘아이 정말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거지? 아무리 봐도 모르겠네!’하며 열심히 찾는 시늉을 하면 아이는 키득키득 웃으며 행복해합니다. 때로는 찾기도 전에 ‘여기 있지!’하며 아이가 먼저 튀어나오기도 하는데 그때도 조금은 과하다 싶게 깜짝 놀랐다는 표정과 목소리로 반응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본인이 하는 행동이 부모에게 영향을 크게 미칠수록 아이는 흥미로워하며 본인이 해낸 것에 뿌듯해합니다.   아이와 함께 게임을 하고 난 후에 아이의 상태를 세심히 살펴주세요. 땀이 날 때에는 ‘아이고 열심히 해서 땀이 났네~ 진짜 재미있었나 보다! 네가 재밌어하니까 엄마도 기분이 좋네~’하며 땀을 닦아주기도 하고 게임을 하고 나니 어땠는지 물어보기도 하고 오늘 재밌었다며 하이파이브를 하거나 서로를 안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의 특성에 도움이 되는 놀이 해보기   아이들은 저마다 움직임이 많고 활동적일 수도, 조용하고 움직임이 느릴 수도, 고집이 ...